파이썬 기본구조

파이썬은 사용자 정의 함수, 클래스가 먼저 정의되고, 그다음에 실행 코드가 나온다.

자료형

  1. 자료형(Data Type)의 개념
    • 자료형은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실수, 정수 자료형과 같은 여러 종류의 데이터를 식별하는 형태이다.
  2. 자료형 유형
    • 기본 자료형(Primitive Data Type) : 직접 자료를 표현하는 자료형
      • 숫자형(Number) : 숫자를 저장하고자 할 때 사용하는 자료형, 정수형(int), 실수형(float)
      • 논리형(Logical; Boolean) : 변수의 참, 거짓을 나타낼 때 사용하는 자료형, True(참), False(거짓)
    • 컬렉션 자료형(Collection Data Type) : 다수의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자료형
      • 시퀀스 자료형 : 문자열형(String), 리스트형(List), 튜플형(tuple)
      • 비시퀀스 자료형 : 세트형(Set), 딕셔너리형(Dictionary)

시퀀스 자료형 종류

시퀀스 자료형은 순서가 존재하는 자료형으로 순서가 중요하다.

  1. 문자열형(String)
    • 문자열형은 문자를 한 개 또는 여러 개 저장하고자 할 때 사용하는 자료구조이다.
  2. 리스트형(List)
    • 리스트는 크기가 가변적으로 변하는 선형리스트의 성질을 가지고 있는 자료형이다.
  3. 튜플형(Tuple)
    • 튜플형은 초기에 선언된 값에서 값을 생성, 삭제, 수정이 불가능한 형태의 자료형이다.
    • 선언 : 튜플명 = (요소1, 요소2, …)

시퀀스 자료형 요소 접근 방법

  1. 인덱싱(Indexing)
    • 시퀀스 자료형은 여러 값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인덱스를 이용해서 중간값에 접근할 수 있다.
    • 문자열 앞에서부터 시작하면 인덱스는 0부터 시작하고, 뒤에서부터 시작하면 -1 부터 시작한다.
  2. 슬라이싱(Slicing)
    • 슬라이싱은 시퀀스 자료형에서 여러 개의 데이터에 동시에 접근하는 기법이다.
    • 시퀀스변수명[시작 : 종료 : 스텝]
      • 시작을 생략할 경우 처음부터 슬라이싱
      • 종료 인덱스에 있는 인덱스 전까지만 슬라이싱, 종료를 생략할 경우 마지막까지 슬라이싱
      • 스텝 : 몇 개씩 끊어서 슬라이싱을 할지 결정하는 값, 생략할 경우 1이 기본값
    • 문자열 인덱싱 예제
      1
      2
      3
      4
      
      print("soojebi"[3])
      print("soojebi"[-7])
      str = "soojebi"
      print(str[1]) 
      
    • 출력
      j
      s
      o
    • 문자열 슬라이싱 예제
      1
      2
      3
      
      print("soojebi"[1:])  # 시작 위치만 지정하면 oojebi가 출력
      print("soojebi"[2:4]) # 2번째부터 시작해서 3번째(4-1번째)까지 출력하며, step은 생략되므로 1이 되어 oj가 출력
      print("saojebi"[:3])  # 시작 인덱스는 생략되어 있고, 종료 인덱스만 명시된 형태로 2번째(3-1)까지 출력
      
    • 출력
      oojebi
      oj
      sao
    • 리스트 슬라이싱 예제
      1
      2
      
      a = [4, 2, 7, 3, 5]
      print(a[0 : 4 : 2]) # 0번지부터 4번지 바로 전 인덱스인 3번지 인덱스까지 2개씩 끊어서 슬라이싱
      
    • 출력
      [4, 7]
    • 튜플 슬라이싱 예제
      1
      2
      
      t = ('s', 'j', 'b')
      print(t[1:])
      
    • 출력
      (‘j’, ‘b’)

비시퀀스 자료형 구조

비시퀀스 자료형은 순서가 존재하지 않는 자료형으로 순서가 중요하지 않다.

  1. 세트형
    • 세트형은 중복된 원소를 허용하지 않는 집합의 성질을 가지고 있는 자료형이다.
    • set라는 키워드로 세트형을 초기화하거나 {,}를 이용하여 세트형을 선언한다.
    • 선언 : 세트명 = set([요소1, 요소2, ···]), 세트명 = {요소1, 요소2, ···}
  2. 딕셔너리형
    • 딕셔너리형은 키와 값으로 구성된 객쳬를 저장하는 구조로 되어 있는 자료형이다.
    • 선언 : 딕셔너리명 = {키1:값1, 키2:값2, ···} {, } 안에 콜론(:)을 이용하여 키와 값을 구분한다.
      • 딕셔너리형 요소 변경 : 딕셔너리명[키] = 값 기존 변수에 키와 값을 추가한다. 기존 변수에 해당 키에 해당하는 값이 있었으면 값을 변경한다.
      • 딕셔너리형 요소 삭제 : del 딕셔너리명[키] 기존 변수에서 해당 키와 키에 해당하는 값을 삭제한다.
    • 세트형 예제
      1
      2
      3
      4
      5
      6
      7
      8
      9
      
      s = {1, 5, 7}
      S.add(3)
      print(s)
      S.add(5)
      print(s)
      s.update([1, 2, 3, 4])
      print(s)
      S.remove(1)
      print(s) 
      
    • 출력
      {1, 3, 5, 7}
      {1, 3, 5, 7}
      {1, 2, 3, 4, 5, 7}
      {2, 3, 4, 5, 7}
    • 딕서너리형 예제
      1
      2
      3
      4
      5
      6
      7
      8
      
      d = {'A':5, 'C':4}
      print(d)
      d['K'] = 7
      print(d)
      del d['C']
      print(d)
      d['K'] = 6
      print(d)
      
    • 출력
      {‘A’: 5, ‘C’: 4}
      {‘A’: 5, ‘C’: 4, ‘K’: 7}
      {‘A’: 5, ‘K’: 7}
      {‘A’: 5, ‘K’: 6}
  3. 자료형 함수
    • 1) type 함수 : 자료형을 확인하는 함수
      • 정수형(Integer) : <class 'int'>
      • 실수형(Roating Point) : <class 'float'>
      • 논리형(Logical) : <class 'bool'>
      • 문자열형(String) : <class 'str'>
      • 리스트형(List) : <class 'list'>
      • 튜플형(Tuple) : <class 'tuple'>
      • 딕셔너리형(Dictionary) : <class 'dict'>
      • 세트형(Set) : <class 'set'>
    • 2) len 함수 : 컬렉션 자료형의 크기를 계산하는 함수
    • type 함수 자료형 예제
      1
      2
      3
      4
      5
      6
      7
      8
      9
      10
      11
      12
      13
      14
      15
      16
      17
      
      print(type(31))
      print(type(2.7))
      print(type(True))
      print(type('Soojebi'))
      print(type([1, 2, 3])) # [1, 2, 3]은 리스트형
      print(type((1, 2, 3))) # (1, 2, 3)은 튜플형
      print(type({1, 2, 3})) # {1, 2, 3}은 세트형
      print(type({'s':1, 'j':2, 'b':3})) 
      # 출력
      # <class 'int'>
      # <class 'float'>
      # <class 'bool'>
      # <class 'str'>
      # <class 'list'>
      # <class 'tuple'>
      # <class 'set'>
      # <class 'dict'>
      

세트형 메서드

  1. add(값) : 값을 1개 추가하는 메서드
  2. update([값1, 값2, ···]) : 여러 개의 값을 한꺼번에 추가하는 메서드
  3. remove(값) : 특정 값을 제거하는 메서드

문자열 관련 함수

  1. upper() : 문자열을 대문자로 변환하는 함수
  2. lower() : 문자열을 소문자로 변환하는 함수
  3. isalnum() : 문자열이 알파벳 또는 숫자로만 구성되어 있으면 True, 아니면 False를 리턴하는 함수
  4. isalpha() : 문자열이 알파벳으로만 구성되어 있으면 True, 아니면 False를 리턴하는 함수
  5. isdecimal() : 문자열이 정수이면 True, 아니면 False를 리턴하는 함수
  6. isdigit() : 문자열이 숫자이면 True, 아니면 False를 리턴하는 함수
  7. isspace() : 문자열이 공백으로만 구성되어 있으면 True, 아니면 False를 리턴하는 함수
  8. split() : 문자열을 매개변수로 전달된 문자(구분자)로 나누어 리스트로 변환하는 함수

리스트형 메서드

  1. append(x) : 리스트 마지막 요소 뒤에 값 x를 추가하는 메서드
  2. clear() : 리스트의 모든 항목을 삭제하는 메서드
  3. copy() : 리스트를 복사하는 메서드
  4. count(x) : 리스트에서 x 항목의 개수를 알려주는 메서드
  5. extend(i) : 리스트 마지막에 컬렉션 자료형 i를 추가하는 메서드
  6. index(x) : 값 x와 같은 값을 가지고 있는 인덱스 번호를 알려주는 메서드
  7. insert(i, x) : 리스트의 i 번지 위치에 값 ×를 삽입하는 메서드
  8. pop() : 마지막 항목을 삭제하고 값을 꺼내오는 메서드
  9. remove(x) : 리스트에서 해당하는 값 x를 제거하는 메서드, 해당하는 값이 여러 개 있을 경우 가장 앞에 있는 값을 제거
  10. reverse() : 리스트의 위치를 전부 역순으로 바꿔주는 메서드
  11. sort() : 리스트의 항목들을 정렬하는 메서드
  • 리스트형 메서드 예제1
    1
    2
    3
    4
    5
    6
    7
    8
    
    a = [20, 10, 30]
    print(a)
    a.extend (a)
    print(a)
    a.pop()
    print(a)
    a.reverse()
    print(a) 
    
  • 출력
    [20, 10, 30]
    [20, 10, 30, 20, 10, 30]
    [20, 10, 30, 20, 10]
    [10, 20 30, 10 ,20]

  • 리스트형 메서드 예제2
    1
    2
    3
    4
    5
    6
    7
    
    l = [3, 5, 7]
    l.append(3)
    print(l)
    l.insert(2, 4)
    print(l)
    l.remove(3)
    print(l)
    
  • 출력
    [3, 5, 7, 3]
    [3, 5, 4, 7, 3]
    [5, 4, 7, 3]

  • 2차원 리스트 예제
    1
    2
    3
    4
    5
    6
    
    a = [[1, 2], [3, 4], [5, 6]]
    print(a)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# 2차원 리스트 a를 출력
    print(a[0])                           # a[0]은 [1, 2], a[1]은 [3, 4], a[2]는 [5, 6]을 가리킴
    print (a[1] [0])
    b = [[1, 2, 3], [4, 5], [6, 7, 8, 9]] # a[1][0] 값인 3을 출력
    print(b[0])                           # b[0]인 [1, 2, 3]을 출력
    
  • 출력
    [[1, 2], [3, 4], [5, 6]]
    [[1, 2]]
    3
    [1, 2, 3]

입출력

  1. 표준 출력 함수(print)
    • print 함수를 쓰면 함수가 종료된 후에 기본으로 개행(줄바꿈) 된다.
    • print(문자열) : 출력 후에 개행, print(문자열, end='') : 출력 후에 개행을 하지 않음
      • 변수 출력
      • print(변수명) : 매개변수에 출력하고자 하는 변수명만 넣어주면 된다.
  2. 표준 입력 함수(input)
    • input 함수는 문자열 또는 숫자를 입력받을 수 있는 파이썬 표준 입력 함수이다.
    • 파이썬에서는 정수형과 실수형과 같은 슷자를 입력받을 때는 문자열로 저장한 후에 eval 함수를 써서 숫자로 변환해 주어야 한다.
      • 문자열 입력 : 변수명 = input()
      • 숫자 입력 변수명 : 변수명 = input() 변수명 = eval(변수명)
    • eval 매개변수를 숫자로 변환할 수 없는 형태의 문자열일 경우 에러가 발생한다.

연산자

  1. 연산자(0perator) 개념
    • 프로그램 실행을 위해 연산을 표현하는 기호이다.
  2. 연산자 종류
    • 1) Swap 연산자 : 두 변수의 값을 교환하는 연산자, 콤마를 기준으로 두 값을 교환한다.
    • 예제
      1
      2
      3
      4
      5
      6
      
      a, b = 10, 20
      print (a)
      print(b)
      a, b = b, a # a에 있는 값과 b에 있는 값을 교환
      print (a)
      print(b) 
      
    • 출력
      10
      20
      20
      10
    • 2) 산술 연산자 : 두 수의 수치 계산을 위한 연산자, 사칙 연산(+, -, *, /, //), 지수 연산(**), 나머지 연산(%)이 있다.
    • C언어, 자바에서 //는 주석(실제 실행되지 않는 코드)이지만, 파이썬에서는 몫을 계산하는 연산자이다.
      1
      2
      3
      4
      
      print(3 / 2)
      print(3 // 2) # 3/2한 결과에서 몫인 1을 출력
      print(3 ** 2) # 3의 제곱인 9를 출력
      print(3 % 2)  # 3을 2로 나머지 연산한 1을 출력 
      
    • 출력
      1.5
      1
      9
      1
    • 3) 비교 연산자 : C는 참일 때 1, 거짓일 때 0, 자바는 true/false, 파이썬은 True/False로 앞글자가 대문자이다.
    • 4) 대입 연산자 : 파이썬에는 추가적으로 **=//= 연산자를 제공한다.
      • **= : 왼쪽의 변수 값을 오른쪽 수의 제곱한 후 왼쪽 변수에 재할당
      • //= : 왼쪽의 변수 값을 오른쪽 수의 나눈후 내림한 값을 왼쪽 변수에 재할당
    • 예제
      1
      2
      3
      4
      5
      6
      7
      8
      9
      10
      11
      
      a, b = 3, 2
      a *= b      # a 값 3과 b 값 2를 곱하고 그 결과인 6을 a에 대입
      print(a)
      a **= b     # a 값 6과 b 값 2를 거듭제곱하고 그 결과인 36을 a에 대입
      print(a)
      a /= b      # a 값 36을 b 값 2로 나누고 그 결과인 18을 a에 대입
      print(a)
      a //= b     # a 값 18.0을 b 값 2로 나누고 그 몫인 9.0을 a에 대입
      print(a)
      a %= b      # a 값 9.0과 b 값 2를 나머지 연산하고 그 결과인 1.0을 a에 대입
      print(a)
      
    • 출력
      6
      36
      18
      9
      1.0

조건문 - if문

반복분

  1. while 문 : 조건문이 참일 경우 명령문을 반복하여 수행한다.
    • 조건문 뒤에는 반드시 콜론:을 붙인다.
  2. for 문 : in 연산자 뒤에 range 함수를 사용하여 반복의 범위를 지정하거나 리스트 개수만큼 반복을 수행한다.
    • 일반 for 문 : range 범위를 지정하는 함수, for 변수 in range(시작, 종료, 스텝): 명령문
    • 시작을 생략하면 0, 스텝 값을 생략하면 1이 자동으로 들어간다.
    • (시작) 값부터 for 문을 반복할 때마다 (스텝) 수만큼 값을 증가시키고 변숫값이 (종료) 값 이상이면 반복문을 종료
      • range 함수에 값이 하나일 경우 시작 = 0, 스텝 = 1이 자동으로 들어가고,
      • range 함수에 값이 두 개일 경우 스텝 = 1이 자동으로 들어간다.
  3. for each 문 : 시퀀스 자료형의 요소들을 차례대로 변수에 대입하면서 반복하는 명령어
    • for 변수 in 시퀀스자료형 : 명령문

함수

사용자 정의 함수

  • 디폴트 매개변수 def 함수이름(매개변수=디폴트값):명령문 함수를 호출할 때, 매개변수가 명시되어 있지 않으면 디폴트 매개변수 값이 전달된다.
    1
    2
    3
    4
    
    def soojebi(numl, num2=2):
    print('a=', num1, 'b=', num2)
    soojebi(20)
    soojebi(20, 3) 
    
  • 출력
    a= 20 b= 2
    a= 20 b= 3

람다 함수

  • 람다 함수는 이름 없이 동작하는 함수이다.
  • 매개변수에 값을 전달하면 표현식에서 연산을 수행한다.
  1. 일반 람다 함수
    • lambda 매개변수 : 표현식
      1
      
      (lambda n, m : n + m)(2, 3) # 숫자 2와 3을 람다 함수의 매개변수 n과 m이 전달 받아 n과 m을 더한 결과 5를 화면에 출력
      
    • 출력
      5
  2. 변수를 이용한 람다 함수
    • 람다 함수를 변수에 할당하여 재사용할 수 있다.
      1
      2
      
      sum = lambda n, m = n + m # 매개변수 n과 m을 전달받아 n과 m을 더한 결과를 sum에 대입
      print(sum(2, 3)) 
      
    • 출력
      5
  3. 사용자 정의 함수를 이용한 람다 함수
    • 람다 함수는 사용자 정의 함수로 구현할 수 있다.
      1
      2
      3
      4
      
      def f(n):             # f(3)에 의해서 호출되었기 때문에 n은 3이 됨 
      return lambda a:a*n # n이 3이므로 return 값인 lambda a:a*3을 반환
      k = f(3)              # f(3)이 lambda a:a*3이므로 k는 람다 함수인 lambda a:a*3을 저장
      print(k(10))          # k(10)이므로 k가 저장하고 있는 람다 함수에 10을 넣게 되면 a가 10이 되어 10*3인 30을 반환하여 30을 출력
      
    • 출력
      30
  4. 내장 함수를 이용한 람다 함수
    • 람다 함수는 파이썬 map 함수, filter 함수와 같이 사용할 수 있다.
      • map : map(함수, 리스트) 첫 번째 매개변수에는 함수, 두 번째 매개변수에는 리스트를 전달, 리스트 요소를 함수에 전달하여 반복을 수행하는 함수
      • filter : 첫 번째 매개변수에는 함수, 두 번째 매개변수에는 리스트를 전달, 리스트 요소를 함수에 전달하여 조건이 참인 값을 리턴하는 함수.
        1
        2
        3
        4
        5
        
        a = [1,2,3,4,5]
        m = list(map(lambda num : num + 100, a))
        # num : rum + 100에서 매개변수인 왼쪽 num 값으로 리스트 a의 값이 순차적으로 전달되며, 이 값은 오른쪽의 num + 100에 전달되어 연산
        # 1 + 100, 2 + 100, 3 + 100, 4 + 100, 5 + 100이 실행되어 101, 102, 103, 104, 105가 계산됨
        print(m) 
        
    • 출력
      [101, 102, 103, 104. 105]
    • 파이썬 filter를 이용한 람다 함수 예제
      1
      2
      3
      
      a = [1,2,3,4,5]
      m = list(filter(lambda num : num > 2, a))
      print(m)
      
    • 출력 [3, 4, 5]

예외 처리

  1. 예외 처리(Exception Handling) 개념
    예외처리는 작성한 코드가 실행하는 도중에 발생되는 에러를 처리하는 구문이다.
    • try, except, finally를 이용하여 예외 처리한다.
    • 예외처리 구문
      1
      2
      3
      4
      
      try:
      명령문
      except:
      예외 발생시 동작할 명령문
      
      1
      2
      3
      4
      5
      6
      
      try:
      명령문
      except 발생예외명:        # except에서 특정 예외만 처리하기 위해 발생오류에 대한 예외 발생 시 동작할 코드를 수행
      예외 발생시 동작할 명령문
      finally:                # finally는 try가 실행되고 마지막에 반드시 실행될 명령문을 작성하며, 선택적으로 작성 가능 
      명령문
      
      1
      2
      3
      4
      5
      6
      7
      8
      
      try:
      명령문
      except 발생예외명1:
      예외 발생시 동작할 명령문1 # 예외는 1개 이상의 except 구문을 사용가능함
      except 발생예외명2:
      예외 발생시 동작할 명령문2
      else:
      명령문                  # else는 예외가 발생되지 않았을 경우에 실행될 명령문을 작성함
      
  2. raise
    • raise는 프로그램이 의도하지 않게 동작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예외를 발생시키는 명령
    • raise는 try except 구문 안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
    • raise 구문
      1
      2
      
      명령문
      raise # 명령문 실행 시 raise를 사용하여 의도적으로 예외를 발생시킴
      
      1
      2
      
      명령문
      raise 예외처리명 # 명령문 실행 시 예외처리명을 지정하고 raise를 사용하여 의도적으로 예외를 발생시킴
      
      1
      2
      
      명령문
      raise 예외처리명("메시지") # 명령문 실행 시 출력할 메시지를 포함한 예외처리명을 지정하고 raise를 사용하여 의도적으로 예외를 발생시킴
      

클래스

  1. 클래스(Class) 개념과 정의
    클래스는 객쳬 지향 프로그래밍(OOP; Object-Oriented Programming)에서 특정 객쳬를 생성하기 위해 변수와 메서드를 정의하는 틀이다.
    1
    2
    3
    4
    
    class 클래스명:
      del 메서드명(self, 변수명, ···):
     명령어
     return 반환값
    
    1
    2
    3
    
    class Soojebi:
      del ln(self): # 입력받는 값이 없을 경우 self만 사용
     print(5) 
    
  2. self
    self는 현재 객쳬를 가리키는 키워드, 클래스 내부의 변수와 함수를 가리킬 수 있다.

  3. 생성자(Constructor)
    생성자는 해당 클래스의 객체가 생성될 때 자동으로 호출되는 특수한 종류의 메서드이다.
    • 생성자는 __init__이라는 메서드 명을 사용하고, 첫번째 매개변수로 self를 작성하며, 반환 값이 없다.
      • 생성자 정의
        1
        2
        3
        
        class 클래스명:
         def __init__(self, 매개변수):
         명령어
        
      • 호출 : 클래스변수 = 클래스(매개변수)
  4. 소멸자(Destructor)
    소멸자는 객쳬의 수명이 끝났을 때 객쳬를 제거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메서드이다.
    • 소멸자는 __del__이라는 메서드 명을 사용하고, 첫번째 매개변수로 self를 작성하며, 반환 값이 없다.
      • 생성자 정의
        1
        2
        3
        
        class 클래스명:
         def __del__(self):
         명령어
        
      • 호출 : del 클래스변수
  5. 클래스 접근 제어자
    파이썬은 private, public 등의 접근제어자 키워드가 존재하지 않고 작명법(Naming)으로 접근제어를 한다.
    • public : 밑줄이 접두사에 없어야 함
      • 외부의 모든 클래스에서 접근이 가능한 접근제어자
    • protected : 한 개의 밑즐이 접두사여야 함
      • 같은 패키지 내부에 있는 클래스, 하위 클래스(상속받은 경우)에서 접근이 가능한 접근제어자
      • 자기 자신과 상속받은 하위 클래스 둘 다 접근이 가능한 접근 제어자
    • private : 두 개의 밑줄(__)이 접두사여야 함
    • 같은 클래스 내에서만 접근이 가능한 접근 제어자
      1
      2
      3
      4
      5
      6
      7
      8
      9
      10
      11
      12
      13
      14
      
      class Soojebi:
        def __init__(self):
       self.public = "PUBLIC"
       self._protected = "PR0TECTED"
       self.__private = "PRIVATE"
        def fn(self):
       print(self.public)
       print(self._protected)
       print(self.__private)
      s = Soojebi()
      s.fn()
      print(s.public)
      print(s._protected)
      # print(s.__private) 
      
    • 출력
      PUBLIC
      PROTECTED
      PRIVATE
      PUBLIC
      PROTECTED

클래스 상속

  1. 클래스 상속(Inheritance) 개념
    상속은 어떤 객쳬가 있을 때 그 객쳬의 변수와 메서드를 다른 객쳬가 물려받는 기능이다.
    1
    2
    3
    4
    
    class 부모_클래스명:
    ···
    class 자식_클래스명(부모_클래스명):
    ···
    
  2. 메서드 오버라이딩(Overriding)
    오버라이딩은 하위 클래스에서 상위 클래스 메서드를 재정의할 수 있는 기능이다.
    • 오버라이딩의 특징
      • 오버라이드하고자 하는 메서드가 상위 클래스에 존재하여야 한다.
      • 메서드 이름은 같아야 한다.
      • 메서드 매개변수 개수, 데이터 타입이 같아야 한다.
    • 오버라이딩 구문
      1
      2
      3
      4
      5
      6
      7
      8
      
      class A:
      def fn(self):
       print('A')
      class B(A):
      def fn(self):
       print('B')
      a = B()
      a.fn()
      
    • 출력
      B
  3. 부모 클래스 접근
    파이썬은 super 키워드를 이용하여 상위 클래스의 변수나 메서드에 접근할 수 있다. super().메서드명()
    • 예제
      1
      2
      3
      4
      5
      6
      7
      8
      9
      
      class A:
      def fn(se1f):
       print('A')
      class B(A):
      def fn(self):
       super().fn()
       print('B')
      a = B()
      a.fn()
      
    • 출력
      A
      B

댓글남기기